예전에 스팀잇이라는 곳에서 포스팅한 내용인데 지금은 활동하지 않아서 티스토리로 옮겨둡니다.


 

 

 

본격적으로 상대론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특수상대론과 일반상대론이 무엇인지 알아두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정의부터 볼까요?
위키백과에 따르면 특수 상대성이론이란 빛의 속도에 견줄 만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들을 다루는 역학 이론이라고 나옵니다.
한편 일반 상대성이론이란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다루는 물리 이론이라고 나옵니다.

즉, 이 두개는 이름만 상대론이지 접근법이 완전 다릅니다.
하나는 빛의 속도로 갈 때 어떻게 될까이고 하나는 중력의 영향에 따라 어떻게 될까를 다루는 것이죠.

우리는 이 두가지 현상에 대해 실제 지구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측이 가능합니다.
특수상대성이론은 실생활에서는 우리가 느낄 수 없지만 검출기를 사용하면 알 수 있는데요. 뮤온이라는 기본입자가 있습니다. 이 입자의 수명은 매우 짧아 2.2μs입니다. 마이크로초면 10-6초라는 것이고 백만분에 2초만에 붕괴한다는 겁니다.
이렇게 수명이 짧은 뮤온은 우주선(cosmic ray)로부터 지구로 입사하면서 생기고 지구로 입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우리 입장에서는 2.2μs보다 깁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 뮤온은 지구의 지표면에서 검출됩니다.
검출이 되는 이유는 뮤온이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으고 시간이 지연되어 뮤온입장에서의 2.2μs가 우리한테는 이보다 훨씬 긴 시간에 해당되어 우리 입장에서는 이미 붕괴했을 뮤온이 도착하게 됩니다.
그럼 뮤온 입장에서는 더 멀리 가는 거냐고 반문하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것은 로렌츠수축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편한데 나중에 천천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한편 일반상대성이론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로 GPS인데요. 우리가 사용하는 GPS는 인공위성에서 구형인 지구의 위치좌표를 인지하고 이를 GPS 수신기로 통신하며 위치를 정해줍니다.
이러한 GPS를 사용할 때 우리의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3개정도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온 GPS신호를 분석해 동시에 거리에 따른 오차를 보정해 정확한 위치값을 결정해주게 되는데 이때 중력퍼텐셜에 따른 시간차이를 보정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보정해주지 않는다면 GPS는 엉뚱한곳을 가르쳐줄겁니다.

'과학이야기 > 물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릴레이 변환이란?  (1) 2023.02.03
좌표계란?  (1) 2023.02.03
페르미온과 보손  (0) 2018.11.09
맥스웰 방정식에 대해  (0) 2018.11.08
입자의 위치에 대한 논쟁 3가지 주장들  (0) 2018.11.07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

: 영업활동현금흐름 - 영업에 대한 투자 

 

잉여현금흐름은 기업의 본원적 생산 및 판매활동을 통해 현금을 창출하고(영업활동현금흐름) 영업자산에 투자하고도(영업에 대한 투자) 남은 현금을 말합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주가의 장기적 추세를 말한다면 잉여현금흐름은 주가의 급증을 설명한다고 합니다. 

 

잉여현금흐름은 영업실적과 더불어서 미래에 대한 투자까지 함께 고려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영업활동현금흐름은 뭐 재무제표에 적혀있으니 바로 확인이 가능한데 

 

영업에 대한 투자는 뭘까요? 

 

바로 투자활동현금흐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계산해보면 맞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의 상세항목을 보면 금융소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영업에 대한 투자라고 할 수 없으니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영업에 대한 투자가 아닙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에서 영업(미래)에 대한 투자에 해당하는 CAPEX가 영업에 대한 투자이다. 

 

CAPEX란 Capital expenditures의 약자로 자본적지출이라고 합니다. 기업이 영업을 통한 미래의 이윤 창출을 위해 지출한 비용입니다. 

 

따라서, 영업활동현금흐름 - CAPEX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연간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다시한번 살펴보겠습니다. 

 

2019년에 CAPEX 지출은 전년대비 조금 감소한 수준으로 유사하였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이 크게 증가해 FCF가 전년대비 크게 급증했습니다. 

그 다음해에는 영업활동현금흐름이 늘어난 만큼 CAPEX 지출도 커졌고 FCF는 2018년 대비 높은 수준으로 지출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CAPEX가 급증했다면 대규모 투자가 있었을 것이고 이후 FCF가 증가하였다면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급증해 투자로 인한 결과가 매우 좋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보다 진실되게 기업의 이익치를 볼 수 있는 지표!

영업이익은 기업의 회계기준(IFRS)에 따라 각 회사마다 회계처리가 다를 수 있어 절대적인 비교 가능 수치가 아닙니다.

더욱 동일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영업활동현금흐름에 대해 살펴봅시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Cash Flows from Operating으로 운영중에 발생한 현금흐름이라고 직역할 수 있습니다. 줄여서 CFO라고도 합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과 영업이익은 사실상 다른 개념이 아니라 장부상의 이익이냐 현금 관점에서의 이익이냐의 차이입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을 기준으로 지난번에 알아본 네이버를 기준으로 다시 봐보도록 합시다. 

 

https://sungyun7295.tistory.com/138

 

주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재무제표를 알면 오르는 주식이 보인다 책을 참고하여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주식이 오르고 내리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가지는 것은 영업이익입니다. 영업이익 : 기업의 경상적 영

sungyun7295.tistory.com

 

 

 

영업이익성장률 밑에 영업활동현금흐름과 증감률도 넣어보겠습니다. 

 

  2019 2020 2021
매출액 43,562 53,041 68,176
영업이익 11,550 12,153 13,255
영업이익률 26.51% 22.91% 19.44%
영업이익성장률 22.54% 5.22% 9.06%
영업활동현금흐름 13,568 14,472 13,799
영업활동현금흐름 증감률 39.37% 6.66% -4.65%

영업활동현금흐름이 2019년에 급격히 오르고 2020년에 정점을 찍고 내려감을 볼 수 있습니다. 

 

2019년 이후 네이버의 주가는 매우 높았습니다. 물론, 코로나-19 상황의 유동성 공급으로 버블에 의해 급등한 영향이 클 것입니다. 다만, 네이버의 주가 상승이라는 방향은 당연한 결과였죠. 

 

반면 2021년 하반기부터 주가는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도 미국 연준의 금리 상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하락 요인은 엄청 많습니다. 다만, 재무입장에 보았을 때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증가 추세인 점은 여전하였지만 2020년과 비교하여 2021년은 배타적 사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인  영업이익률 20% 밑으로 하회하였고 영업이익성장률은 전년도 보다는 좋았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오히려 -성장하였습니다. 이런점들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하락의 이유를 설명해주는 결과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현 시점에서 네이버의 22년 4분기 실적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기대치로 보면 

- 영업이익률 : 15.54%

- 영업이익성장률 : 4.815%

으로 지속적으로 성장성이 약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가 나오면 다시 살펴 보아야겠군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