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만 보면 함정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한가지 함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입니다...

 

 


00기업의 올해 매출은 직전 년도에 대비해 큰 차이가 없었지만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 기업은 엄청난 성장을 이룬걸까...?


이루었을 수 도 있다. 매출액은 큰차이가 없었지만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면 매출원가 자체를 줄였을 수도 있고 판매비와 관리비를 줄였을 수 도 있다. 매우 운영을 잘한 것이다.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하지만, 여기에 함정이 숨어있을 지도 모른다...!! 

 

그 함정은 바로 재고자산이다. 

 

재고자산을 설명함에 앞서 매출부터 살펴보자. 

 

매출은 기업이 벌어들인 돈이다. 

 

돈은 현금 혹은 외상으로 들어온다. 현금은 현금으로 기업에 바로 들어오는 돈이며 외상은 매출채권을 통해 들어오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카드결제가 있다. 

 

따라서, 매출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매출 = 현금매출 + 외상매출 

 

보통 기업들은 영업관행이 있어 현금매출과 외상매출의 비율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외상매출은 매출채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매출채권은 재무제표에 나타나며 아래는 한화솔루션의 21년도 사업보고서에서 재무상태표를 발췌하였다. 

 

 

매출채권및 기타채권을 보면 47기(20년 12월) 1조 4570억에서 48기 (21년 12월) 1조 6310억으로 약 12% 증가하였다. 

 

한편, 매출은 

 

47기 9조 1950억에서 48기 10조 7250억으로 16.63% 증가하였다. 이때 영업이익증가율은 24.24%였다.

 

매출이 증가한만큼 매출채권도 증가하였고 그 비율도 비슷하니 이상신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만약 매출액이 증가하였는데 매출채권은 이상 비율로 증가하였다면 이것은 이상신호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매출액에서 현금과 외상의 비율은 관례적으로 비슷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매출건 하나 하나가 큰 기업의 경우 예외 존재)

 

매출채권이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보다 훨씬 많이 증가하였다면 영업활동현금흐름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매출원가도 살펴보아야 하는데 위 발췌된 재무제표에서도 볼 수 있다. 

 

매출원가는 기업이 제품을 만들어서 팔때 원가로 인식된다. 즉, 판매가 되어야 매출원가로 발생이 되기 때문에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기초재고 + 당기매입 = 매출원가 + 기말재고 

 

=>  조금 더 쉽게 풀어서 쓰자면 

 

기존 재고 + 당기에 생산한 재고 = 판매된 재고(였던) + 판매하고 남은 재고 (다음분기에는 기존 재고가 될) 

 

여기서 알아야 하는 것이 매출원가는 역산된다는 것이다. 기업이 판매행위를 하고 기말에 판매되지 않은 남은 재고를 결산하여 이들의 원가를 산정해 기말재고액을 결정한 뒤 등식을 통해 역산하여 매출원가를 산정한다. 

 

그렇다면, 같은 등식에서 기말재고가 많이 남아있다면? 기말재고액이 커질 것이고 판매가 된 후 반영되는 매출원가는 줄어들게 된다. 

 

즉, 매출원가가 줄어들면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함정이 발생한다. 

 

물론, 매출액 자체도 같이 줄어들고 있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영업이익도 감소)  

 

매출액이 속여졌다면 영업이익이 증가하거나 유지되는 함정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으로 재무제표를 잘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chatGPT의 신세계를 요즘 경험하고 있는데 

 

이거 믿을만한 정보를 알려주는 건지 의심이 들더군요.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말해줄지도 의문이었습니다. 

 

분명 AI 학습은 인터넷상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을테니 잘못된 정보들도

 

학습에 사용될 것 같았거든요. 

 

그래서 오늘 임진왜란에 대해 물어봤더니 좀 충격적인 답변을 얻었습니다. 

 

 

년도는 맞추었지만 모든 내용이 소설입니다. 이거 어떻게 이럴수가...ㄷㄷ

 

역사왜곡이라고 하니까 말하는 소리도 어이...

 

 

일본이 침략한 전쟁이라고 알려줬지만 아니라는 우리 chatGPT.... 

 

내란이라니 일본이 무슨짓을 한건지ㅋㅋㅋ

그래서 위키백과에 있는 내용을 복사해서 알려줬습니다. 

 

이제서야 인정하네요. 

 

임진왜란뿐만 아니라 잘못된 정보를 통해 사람들에게 알려주는게 많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최대한 과학적인 사실이나, 코딩, 번역 등에 활용하는 점이 좋겠네요.

예전에 스팀잇이라는 곳에서 포스팅한 내용인데 지금은 활동하지 않아서 티스토리로 옮겨둡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빛의 속도가 일정함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간략하게 빛이 만들어 내는 공간을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우리는 3차원 공간에서 살아간다고 말합니다.
3D의 세상에 사는 것이죠.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우리가 사는 공간은 3차원 공간이 아닌 4차원 공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차원이란 공간 내의 하나의 점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축의 개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생각해서 도로를 달릴 때 앞차의 위치를 내 차에서 100m앞 뒤차의 위치를 내차에서 100m뒤 이런 식으로 직선상의 하나의 축만 필요하죠?
반면, 운동장에서 공을 뻥 찼다고 했을 때 순간적인 공의 위치는 앞으로 ~m 위로 ~m이런 식으로 직선상이 아닌 위아래로의 축도 필요합니다.


이런 이유로 한 차원이 더해질 때마다 우리는 서술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차원적으로 서술하게 됩니다.


그래서 3차원의 경우는 3개의 축으로 설명이 되어 보통 (x,y,z)이런식의 좌표값으로 표현이 됩니다.


하지만, 4차원의 공간에 산다고 했었죠?
여기서 고려되는 또 하나의 다른 차원은 시간 차원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절대적으로 시간이 일정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1초..2초..3초가 흘러가고 있으니깐요.
그렇기에 시간 차원까지 고려해주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끊임없이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고 있는 빛의 경우는 어떠할까요?
지금 이 순간에도 빛은 30만km..60만km..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빛이 만들어 내는 공간은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가 사는 공간도 시간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정한 운동을 하지 않으니 매우 복잡할겁니다.


어쨌든, 빛의 입장에서 공간 s=c*t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공간과 시간이 이루는 관계는 아래 그래프와도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world line이 공간 축과 겹치게 된다면 시간은 영원히 정지한 공간이 되게 되고 world line이 시간 축과 겹치게 된다면 시간이 영원히 흐르더라도 공간은 정의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이 world line은 하나의 시간에 두개의 공간이 있다던가 시간상의 거꾸로 흐른다던가 하는식의 위와 같은 모양은 나올 수가 없습니다.

시간은 항상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이죠.
이 world line을 쉽게 보자면 빛이 탄생해서 사리질 때까지의 모든 순간을 시간순으로 정렬해놓고 이것을 우리가 관찰하는데 어떠한 시간에 동시에 과거의 일과 현재의 일이 일어나지는 않겠죠?


물론, 같은 일이야 일어날 수 있겠지만 그것은 전혀 다른 사건이죠. 다른 시간에 일어난!
즉, 빛의 “앨범”을 시간의 축에서 쳐다본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러한 world line은 상대성이론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당장 다음 포스팅부터 시작할 좌표변환의 수정과정에서 우리는 공간을 이 시간으로 정의되는 값으로 정의하게 되고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시간과 공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앞으로 공간의 개념이 아닌 시공간의 개념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