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
: 영업활동현금흐름 - 영업에 대한 투자
잉여현금흐름은 기업의 본원적 생산 및 판매활동을 통해 현금을 창출하고(영업활동현금흐름) 영업자산에 투자하고도(영업에 대한 투자) 남은 현금을 말합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주가의 장기적 추세를 말한다면 잉여현금흐름은 주가의 급증을 설명한다고 합니다.
잉여현금흐름은 영업실적과 더불어서 미래에 대한 투자까지 함께 고려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영업활동현금흐름은 뭐 재무제표에 적혀있으니 바로 확인이 가능한데
영업에 대한 투자는 뭘까요?
바로 투자활동현금흐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계산해보면 맞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의 상세항목을 보면 금융소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영업에 대한 투자라고 할 수 없으니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영업에 대한 투자가 아닙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에서 영업(미래)에 대한 투자에 해당하는 CAPEX가 영업에 대한 투자이다.
CAPEX란 Capital expenditures의 약자로 자본적지출이라고 합니다. 기업이 영업을 통한 미래의 이윤 창출을 위해 지출한 비용입니다.
따라서, 영업활동현금흐름 - CAPEX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연간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다시한번 살펴보겠습니다.
2019년에 CAPEX 지출은 전년대비 조금 감소한 수준으로 유사하였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이 크게 증가해 FCF가 전년대비 크게 급증했습니다.
그 다음해에는 영업활동현금흐름이 늘어난 만큼 CAPEX 지출도 커졌고 FCF는 2018년 대비 높은 수준으로 지출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CAPEX가 급증했다면 대규모 투자가 있었을 것이고 이후 FCF가 증가하였다면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급증해 투자로 인한 결과가 매우 좋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재태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상태표와 현금흐름표 (0) | 2023.02.05 |
---|---|
손익계산서의 이상항목 체크 (0) | 2023.02.04 |
영업활동현금흐름이란? (0) | 2023.02.02 |
주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0) | 2023.02.01 |
시가총액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