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는 회사가 수익과 비용 지출한 항목들을 작성하여 보여주는 표입니다.
이 손익계산서는 많은 정보가 담겨있지만 어떤 부분들을 봐야하는지 막막합니다.
이럴때는 비정상적으로 변동하는 항목에 먼저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정상적으로 급증 혹은 급감한 이유에 주목하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연간보고서뿐만 아니라 분기보고서도 참고해서 어떤 분기에 그런 변화가 발생했는지 알아봐야합니다.
자, 그럼 매번 그러했듯이 네이버 재무를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손익계산서를 검색해서 네이버로부터 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https://www.navercorp.com/investment/finances
NAVER 재무제표
네이버(주) 재무제표 안내
www.navercorp.com
우선, 20년도 분기별 실적입니다. 1Q20 부터 4Q20까지 특별한 변동이 있는지 보겠습니다.
영업외수익이 4Q에 전분기에 비해 약 3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네요. 21년도 분기별 실적도 같이 봐볼까요?
영업외수익이 꾸준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네요. 다만, 213Q에 영업외 비용이 급증하였고 214Q도 증가한 비용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게 왜 그런지 3Q21이랑 2Q21의 항목들을 살펴보아야겠네요.
https://dart.fss.or.kr/dsab007/main.do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서류검색 | 통합검색
dart.fss.or.kr
전자공시시스템에서 분기보고서와 반기보고서를 열람해서 연결재무제포를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았습니다. 달라진 항목이 뭐가 있는지 살펴보죠.
위에서 부터 비교하면서 보니 기타비용이 크게 증가했음을 볼 수 있네요. (26,911,626,558 => 71,639,785,232)
금융비용은 반대로 급감했습니다. (75,464,341,030 => 27,768,250,831)
분기보고서에서 항목을 보았을 때 연결재주제표의 주석을 살펴보니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에서 전분기와 달라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직접 확인해보시길 ~)
아마 기타비용이 증가한 원인이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이러하듯 재무에서 분기별로 변화한 점들을 찾아가서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이 재무분석의 시작이겠네요.
저도 이제 공부를 시작하는 입장이라 아직 용어들도 낮설고 내용도 어렵네요. 계속 블로그에 정리해가면 재무제표와 친해지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재태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업이익의 함정에 빠지지말자 (0) | 2023.02.20 |
---|---|
재무상태표와 현금흐름표 (0) | 2023.02.05 |
잉여현금흐름이란? (0) | 2023.02.03 |
영업활동현금흐름이란? (0) | 2023.02.02 |
주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0)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