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재무상태표의 차변과 대변이 뭐고 현금흐름표와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의 주가가 오를려면 돈을 잘 벌거나 미래 전망이 좋아야 합니다.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 회사여야 하니깐요.
그래서 돈을 잘 버는지 잘 벌기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재무제표를 분석해야 합니다.
기업이 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금 유동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큰 현금의 지출이 있었다면 왜 그랬는지 큰 현금이 유입되었다면 왜 그랬는지를 분석해야 이 기업의 수익과 방향성이 보일 것입니다.
현금 유출입 관점에서 재무제표를 정의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는 인천교통공사의 재무상태표입니다. 금액아래 두개의 열이있습니다.
첫번째열은 좌변(차변)으로 회사가 자금을 투자한 내역입니다. 현금을 지출하고 어떤 형태로든 남아 있는 내역을 말합니다.
두번째열은 우변(대변)으로 회사가 자금을 조달한 내역입니다. 채권자나 주주로부터 조달한 자금이 명시됩니다.
여기서 대변에는 자금 조달 행위가 기록됨으로 재무활동, 차변에는 회사가 투자한 내역이 기록됨으로 투자활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투자한 자산을 바탕으로 영업활동을 수행해 현금을 남기면 손익계산서에 나타납니다.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 현금흐름표 | |
투자활동 | 재무상태표 차변 | 투자활동현금흐름 |
자금조달 | 재무상태표 대변 | 재무활동현금흐름 |
영업수행 | 손익계산서 | 영업활동현금흐름 |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투자활동을 보자면 재무상태표와 현금흐름표 모두에서 확인이 가능하다는 말이됩니다.
유사한데 뭐가 달라서 다르게 표기할까의 답은 회계기준 상의 인식기준이 달라서 그렇다고 합니다.
하여튼, 재무상태표와 현금흐름표를 같이 볼 수 있는데
재무상태표는 당기(이번분기)의 최종 결과 금액을 볼 수 있고 현금흐름표에서는 전기대비 변동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재무상태표의 차·대변의 변동을 살피는 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재태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형자산의 변동을 확인하자 (0) | 2023.03.05 |
---|---|
영업이익의 함정에 빠지지말자 (0) | 2023.02.20 |
손익계산서의 이상항목 체크 (0) | 2023.02.04 |
잉여현금흐름이란? (0) | 2023.02.03 |
영업활동현금흐름이란?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