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같은 겨울철 건조하고 추우니까

난방기구 많이 사용하죠?

 

난방기구들이 보면 사용하는 전기량도 많고

건조하다보니 멀티탭 화재도 걱정이 되고

그래서 고용량 누전차단 멀티탭을 찾게 되더라구요.

문어발식으로 허용용량 이상을 사용하거나 누전차단 기능이 없는 멀티탭을 사용해서

불이라도 나면 정말 큰일이죠. 요즘은 그래서 불이나기전에 사전 차단해주는 누전차단 멀티탭이 인기가 있습니다.

 

누전차단 멀티탭은 과부학 혹은 누전이 발생하면 바로 차단시켜주는 기능이랍니다.

 

예를들어, 3000W까지 사용이 가능한 멀티탭에 그 이상의 전열기구들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차단해준다는 얘기죠. 혹은 누전이 발생하면 차단해줍니다.

 

가정마다있는 분전반이 이런 역할을 해주지만 안전단계가 하나 더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그래서, 어떤 멀티탭이 좋을까 찾아보니 써지오 고용량 누전차단용 멀티탭 3구가 좋아보였어요.

 

이 멀티탭은 우선 3800W까지 사용이 가능하구 3구니까 사용가능 와트는 충분해 보이네요.

 

많이들 사용하는 5방난로가 보통 2000W정도이니 나쁘지않죠? 제조사에선 3000W이상 사용을 자제하라고 하니

참고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아요.

 

아 그리고 일반적인 멀티탭과 달리 온오프 스위치 버튼이 덮게안쪽 깊숙히 들어가져 있는데

누전차단 멀티탭은 잦은 온오프가 좋지 않다고 하니 주의하시길 바래요!

고용량 누전차단용 멀티탭 3구 WI-MC1637, 3m, 1개

 

고용량 누전차단용 멀티탭 3구 WI-MC1637

COUPANG

www.coupang.com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리뷰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경희 5방난로 리뷰  (1) 2023.01.27
구글 크롬캐스트3 DVI 호환  (0) 2023.01.26

SSH를 통해 Linux 상에서는 편리하게 원격 접속을 할 수 있다.

SSH는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을 말한다. SSH는 다른 원격 접속 프로토콜보다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암호화된 방식으로 접근하기 때문이다.

SSH 접근은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하고 Root 접근이 가능하다. (Centos 9 stream을 사용해보니 9은 Root 접근을 기본적으로 차단하는 것 같다)

따라서 기본 포트를 사용하는 것과 Root 접근을 허용하면 보안에 취약하니 변경해주도록 하자.

우선 Root접근을 막으면 user 계정으로 접근해야하니 변경전에 user 계정의 password를 확인해두고 접속을 확인한 후 아래 내용을 따라가자.

$ vi /etc/ssh/sshd_config

#Port 22 → Port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번호>

#PermitRootLogin yes → PermitRootLogin no

두줄을 #을 풀고 위처럼 바꾸자.

바꾸고 난 뒤에 sshd 서비스를 재시작 하자.

$ systemctl restart sshd

주의해야할 점은 방화벽을 사용중이라면 새로 추가한 포트를 방화벽에서 접속가능한 포트로 열어줘야 한다.

$ systemctl status firewalld

방화벽 가동 여부 확인 후

$ firewall-cmd --list-ports

사용하고자 하는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한다.

열려있지 않다면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port number]/tcp

$ firewall-cmd --reload

포트를 추가하고 재시작을 한다.

$ firewall-cmd --list-ports

실제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한다.

이제 실제로 SSH 접속이 Root로 그리고 기본 포트로 접속이 안되는지 그리고 바뀐 포트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보자.

잘 설정하였다면 Root 접속이 불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포트도 기본 포트로 접근 시 접근이 거절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9] YUM 저장소 구축  (2) 2023.01.06
[Centos9] NTP 시간 동기화  (0) 2023.01.06
[Centos7] local YUM 저장소 구축 및 원격 접속  (0) 2023.01.05

'인플레이션 이야기' 신환종 지음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50590

인플레이션 이야기 | 신환종 - 교보문고

인플레이션 이야기 | “가난한 사람은 통장에 돈이 없는 걸 불안해하고 부자들은 통장에 돈이 있는 걸 불안해한다” 인플레이션과 금리를 통해 배우는 진정한 부의 도약코로나19 펜데믹은 인류

product.kyobobook.co.kr

요즘은 인플레이션이 어마무시하다. 인플레가 도대체 뭐길래 금리를 저렇게 올려서 대응을 하고 그리고 왜이렇게 잡기가 힘든 것인지 궁금했다. 그런 와중에 인플레이션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룬 책을 발견하였고 읽고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앞으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는 2022년 7월 13일 발표때의 9.1%를 찍고 내려오고 있지만 아직도 7% 정도의 물가 상승이 일어나고 있다.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cpi-733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 대비>

소비자물가지수 (YoY)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인플레이션은 부풀어 오르다라는 뜻으로 모든 상품의 물가가 오르고 동시에 돈의 가치는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있다면 반대로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이 있고 디플레이션에서 인플레이션으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인 리플레이션도 있습니다. 리플레이션은 심각한 인플레를 유발하지 않을 정도의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디플레이션 상황으로 넘어갈 때를 디스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생산과 고용이 괜찮으면서도 서서히 물가가 안정화됩니다. 빨리 디스인플레이션 상황이 오면 좋겠군요.

그렇다면..!!

여기서 인플레이션이 오게 되는 다양한 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

- 경제 성장

경제가 성장한다면 기업들은 매출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설비 증설, 고용 증가, 임금 상승 등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당연 가계의 소득도 증가하고 소득이 늘은 사람들은 소비를 늘리며 다시 기업들의 매출이 증가하는 선순환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서 물가는 비싸질 수 밖에 없습니다. 공급은 갑자기 늘어나지 않으니깐요.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경제 성장은 인플레이션을 야기합니다. 이런 인플레이션을 '좋은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 통화량 증가

시장에 화폐 공급이 급격히 증가하면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코로나가 터지고 나서 전세계적으로 양적완화를 하면서 저금리 대출, 재난지원금 등으로 많은 돈이 시장에 풀렸고 이런 돈이 자산시장에 유입되면서 부동산과 같은 상품은 가격이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돈의 가치는 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경기 부양 재정정책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금리 인하, 감세, 규제 완화 등 대규모 재정정책을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이런 경기 부양책을 바탕으로 경기가 회복되면서 경제 성장을 유발합니다. 경제 성장을 유발하면 궁극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유발됩니다.

- 공급 충격

원자재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인플페이션을 유발합니다. 석유 수출 금지와 같은 문제로 오는 오일 쇼크는 이전에 국제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했습니다.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줄어버리면 가격이 오를수 밖에 없죠. 2022년 파월과 바이든 행정부는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이다' 라는 말을 자주 했습니다. 이런 근거로 지정학적인 원인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등 공급 이슈가 있었고 더 이전으로 가면 전세계적인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으로 수요가 크게 위축되고 공급에 문제가 생겼었기 때문에 이런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한다면 인플레이션은 해결된다는 것이였죠.

- 비용 상승

마찬가지로 생산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증가한다면 상품에 그 비용을 인가하게 되고 제품 가격의 상승을 유발합니다. 필요한 비용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 임금 인상 등이 있습니다.

- 수요 견인

총수요가 증가하고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보통 경기가 호황이 과열되면 국민경제적으로 총수요가 총공급을 웃돌면서 발생합니다.

- 환율 상승

자국의 환율이 약세가 되면 수입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유발됩니다. 실제로 이번에 아이폰14가 출시가격이 미국기준 같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실질적으로 가격이 상승되었었죠.


- 독과점 및 가격 통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공공산업의 경우 독과점이 금지되어 있어 발생하지 않지만 전기, 수도와 같은 공공산업이 민영화된 국가들에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