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무제표를 알면 오르는 주식이 보인다 

책을 참고하여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주식이 오르고 내리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가지는 것은 영업이익입니다. 

 

영업이익 : 기업의 경상적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손익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에 더해 비경상적 영업외 활동에서 발생하는 영업외 손익을 포함

 

여기서 경상적이란 말은 '지속적' 의 의미를 지닙니다. 

 

영업이익은 기업의 지속적인 손익을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영업이익은 기업이 이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성적입니다. 

 

당기순이익은 비지속적인 '일시적 손익'을 포함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당기순이익으로 본다면 그 해 실적이 유독 좋거나 나빠보일수도 있습니다. 

 

기업이 가치가 있으려면 '일시적 이익'보다는 '지속적 이익'이 좋은 곳이 더 인정받을 것입니다. 

 

따라서, 영업이익을 확인해봐야합니다. 

 

이때, 확인해봐야 하는 것은 초과영업이익입니다. 

 

지속적이익의 수익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초과영업이익은 동종기업의 평균적인 영업이익을 초과하는 영업이익을 말합니다. 

 

동종업계보다 높은 영업이익을 내는 것을 배타적 사업우위에 있음을 말하고 이는 높은 영업이익률로 나타납니다. 

 

영업이익률은 따라서 지속적이익을 알수 있는 지표가 되며 이 영업이익률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영업이익성장률은 

 

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 그러면 네이버의 재무를 보고 한번 구해봅시다. 

 

네이버의 재무정보를 네이버 증권에서 검색해보았습니다. 

 

2019 - 2021년까지의 결과를 보면 

 

중간쯤에 영업이익률이 26.51, 22.91, 19.44% 로 나타나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 실제로 계산해봅시다.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 100

 

영업이익성장률(%) = ((이번 영업이익 - 직전 영업이익) / 직전 영업이익 ) * 100

 

  2019 2020 2021
매출액 43,562 53,041 68,176
영업이익 11,550 12,153 13,255
영업이익률 11,550/43,562 =26.51% 12,153/53,041=22.91% 13,255/68176=19.44%
영업이익성장률 (11550-9425)/9425 = 22.54% (12153-11550)/11550=5.22% (13255-12153)/12153=9.06%

 

자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꾸준히 증가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률과 영업이익성장률이 모두 하락하고 있음을 볼 수 있네요. 

 

외부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네이버는 지금 2021년 8월달을 기점으로 하락새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보통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기본적인 주가레벨을 말하고 영업이익성장률은 그 기업의 주가상승을 말해준다고 합니다. 

 

이 두 지표만으로 주식을 살지 팔지를 판단할 수 는 없습니다. 

 

다만, 정말 중요한 지표라는 점을 명심해야겠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