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ungyun7295.tistory.com/124

 

[Centos7] local YUM 저장소 구축 및 원격 접속

네트워크시스템이 폐쇄망으로 구성되어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거나 업그레이드를 해야할 때 혹은 특정 패키지가 필요할때 폐쇄망에서는 작업하기가 까다롭습니다. rpm을 다운받아서 usb를 통해

sungyun7295.tistory.com

일전에 Centos7 YUM 저장소를 구축하는 포스팅을 하였다. 

 

Centos stream 9도 동일하게 YUM 저장소를 구축하고자 작업을 하였다. 


※ 저장소 추가와 관련해서

Centos stream 9을 설치하고 /etc/yum.repo.d 에 들어가보면 두개의 저장소뿐 epel 등의 저장소는 없다. 

그럼 많은 Package들이 제외되기 때문에 추가로 다운로드 받아준다.

$ dnf config-manager --set-enabled crb
$ dnf install epel-release epel-next-release

$ dnf install https://rpms.remirepo.net/enterprise/remi-release-9.rpm

저장소가 추가된 것을 확인하고 --downloadonly를 사용해 저장소에 넣어주고 혹시 이미 createrepo로 저장소를 만들었다면 다음 명령어로 저장소를 업데이트해주자. 

$ yum upgrade --downloadonly --downloaddir=<저장소 path>

$ createrepo --update <저장소 path>

 

- EPEL은 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의 약자로 RHEL/Centos에 포함되지 않은 여러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반의 저장소

- REMI는 LAMP (Linux, Apache, MySQL, PHP) 관련 최신버전을 포함한 저장소


 

Centos7가 대부분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하지만 조금 달랐던 부분들을 소개한다. 

 

Centos7 구축 방법을 참고해 잘 따라하면 문제없이 로컬에서 WEB에 IP를 치면 아래화면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repo 경로로 들어가지지 않는다면 저장소에 대한 접근 권한에 문제가 있거나 httpd.conf의 설정이 잘못된것이니 한번더 확인해보자

 

여기까지 잘 따라왔으면 아마도 다른 client에서 web으로 접속을 시도해보면 접근금지 화면이 출력될 것이다.

 

Centos7 Apache 버전과 달리 9의 Apache 버전은 IPV6를 우선적으로 지원해주는? 듯 하였다. 

 

apache http를 가동하고 보니 

 

$ netstat -nao | grep LISTEN 

 

수행하면 http에서 사용하는 포트의 tcp가 tcp6로 되어 있는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httpd.conf에서 

 

LISTEN 80 을 

LISTEN 0.0.0.0:80으로 변경하자

 

변경 후 

$ systemctl restart httpd

 실행 후 

 

$ netstat -nao | grep LISTEN 

 

tcp6가 다시 tcp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이제 원격으로 저장소가 설치된 서버로 접속이 가능하다.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설정  (0) 2023.01.11
[Centos9] NTP 시간 동기화  (0) 2023.01.06
[Centos7] local YUM 저장소 구축 및 원격 접속  (0) 2023.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