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자산에는 특허권, 라이선스, 개발비 등 물리적 형체가 없는 자산을 말합니다.
요즘의 플랫폼사업들의 경우는 자산총계에서 이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무형자산의 변동도 항상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네이버의 분고보고서를 예시로 변동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네이버의 2022년 9월 분기 보고서의 연결 재무상태표입니다.

자산총계가 23기(21.12.31) 33조6900억에서 24기(2022.09.30) 34조 4300억으로 약 7400억 상승한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무형자산을 중점으로 살펴볼 예정이니까 무형자산만 다뤄보겠습니다.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기별 2.8% 4.5%로 무형자산의 비율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네이버는 총 자산비중에서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그렇게 크지는 않군요.
그래도 9300억정도에서 1조 5500으로 증가했으니 의미있는 변화로 보고 왜 변했는지 알아봅시다.
알아보기 위해서는 현금흐름표에서 투자활동현금흐름을 살펴봅니다.

무형자산 항목에서 취득은 23기 3분기 약 380억에서 24기 3분기 480억 정도로 100억정도 전기대비 상승했고 처분은 50억 정도에서 92억 정도로 42억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무형자산의 순취득액은 100 - 42으로 약 58억 증가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차이는 위 재무상태표에서 살펴본 약 6200억원의 차이를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재무제표의 주석에서 무형자산변동사항을 확인합니다.
연결재무제표주석에서 무형자산 변동내역을 찾아봅니다.

최종 금액을 보면 위 재무상태표에서 본 금액과 같은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주요변동사유가 기초금액 자체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고 무형자산상각비를 영업비용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기초금액의 경우 전기의 사업보고서를 참고해야겠네요.
22년 3월에 나온 사업보고서에서 재무제표 주석을 찾아보았습니다.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항목에서 영업권 항목이 5600억으로 변동의 60% 정도를 차지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영업권은 기업의 인수와 관련된 항목으로 주석에서 아래로 내려보면 찾을 수 있습니다.

보면 WATTPAD라는 기업이 추가가 되었고 금액도 유사함을 볼 수 있네요.
WATTPAD를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731
네이버, 캐나다 Wattpad社 주식 취득 결정…"글로벌 컨텐츠 사업 다각화" - 핀포인트뉴스
네이버가 캐나다 Wattpad社의 주식 취득을 결정했다.20일 네이버는 공시를 통해 "Wattpad社의 주식 2억4854만 3779주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취득금액은 6532억5050만원 규모로 취득 후 네이...
www.pinpointnews.co.kr
찾아보니 21년 네이버에서 지분 100%를 취득하였고 이를 22년 재무제표에서 반영이 된 것 같습니다.
이러하듯 무형자산의 변동에서부터 시작해서 그 원인을 찾는 연습을 통해 네이버가 어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지까지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재태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개발투자 비용인가 자산인가 (0) | 2023.03.05 |
---|---|
영업이익의 함정에 빠지지말자 (0) | 2023.02.20 |
재무상태표와 현금흐름표 (0) | 2023.02.05 |
손익계산서의 이상항목 체크 (0) | 2023.02.04 |
잉여현금흐름이란? (0) | 2023.02.03 |